-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비상장 분석

공모주(IPO): 노을

1HO 2022. 2. 21. 18:22

노을 (2022.02.16)

 

총평

말라리아, 말초혈액 진단은 기출시했다는 점 긍정적. 자동화/속도,정확성 등 기술적으로 진보한 것 맞는 듯. 그러나 높은 PER 멀티플 적용 및 24,25년 추정손익 기반 적용순이익(지금 같은 증시, 자금 상황에 먹히기엔 좀 아쉬움)으로 미참여 결론.

 

사업의 개요
2015년 설립

당사는 Embedded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술과 자체 보유 원천기술인 NGSI (Next Generation Staining and Immunostaining, 고체기반 차세대 염색 및 면역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혈액과 조직세포를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는 차세대 진단검사 플랫폼 기업입니다.

질병진단 플랫폼


*
주요 기술

(1) NGSI 기술: 기존 진단검사는 액체기반 염색기술 기반. 액체염색 대비 사용 시료양 1/10 절감, 세척 및 건조과정 생략 가능해 효율성 향상, 폐수발생 방지(친환경)의 강점을 지님

(2) Embedded AI 기술: 혈구 및 세포의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존에 전문인력이 현미경 관찰하는 방식대비 100배 빠른 속도, 높은 정확도

현장에서 진단가능한 임베디드 AI 기술 기반으로 고성능 서버, GPU, 네트워크 연결 없이 진단결과 제공 가능

(3) 올인원 플랫폼 기술: 검체 전처리~판독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융합기술 개발에 집중. 올인원 플랫폼 기술을 동사의 진단검사 플랫폼 제품인 miLab Dx에 적용해 실시간 염색과정 제어 / digital pathodology 구현(원격에서도 디바이스 접속해 결과분석 가능) 등 기능 구현

 

* 주요 제품

1) miLab Dx

현미경 검사법의 질병 진단에 필요한 시약 준비, 검체 염색, 현미경 분석 등 진단 검사의 전체 과정을 완전 자동화한 디지털 기반 진단 솔루션 (현미경 검사법 완전자동화)

일회용 진단 카트리지 교환 및 인공지능 진단 알고리즘 업데이트만으로 하나의 진단 디바이스에서 말라리아, 말초혈액 분석, 자궁경부암, 유방암 등 다양한 질병 진단이 가능

또한, 원격 진단/분석 소프트웨어인 miLab Viewer를 활용해 진단검사 데이터와 결과를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고 확인

2020년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 출시, 21 4분기 말초혈액 진단 솔루션 출시. 이후 열 질환,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으로 진단 솔루션을 확장하고자 현재 연구개발 중

2) miLab Rx (현재 개발 단계)

유방암, 폐암 등 암 정밀진단 및 암 프로파일링에 특화된 진단검사 플랫폼

 

밸류에이션

PER Valuation

Peer: 에스디바이오센서, 진시스템, 아이센스, 나노엔텍, 수젠텍, 바이텍메드

산업명 기업명 주요 사업 및 매출구성 선정여부
(C27112)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
에스디바이오센서 면역진단키트(95%)  선정
메디아나 산소포화도측정기 42.8%, 환자감시장치 14.9%, AED 8.3%,
Defribrillator 12.6%
제외
멕아이씨에스 인공호흡기(74.5%), 환자감시장치(2.5%) 제외
피제이전자 초음파진기 외(92.8%) 제외
진시스템 코로나 등 진단키트 및 기기(74.2%), 핵산 추출시약(18.0%) 선정
아이센스 자가혈당 측정기(77.7%), 혈액응고시간 측정기기(11.3%) 선정
(C27199)
그 외 기타 의료용
기타 제조업
한컴라이프케어 방화복, 방열복, 산소마스크 등 제외
나노엔텍 신속진단키트(10.0%), 형광면역 진단키트(11.7%),
혈액제제 분석키트(14.7%), 생명과학소모품(29.7%)
선정
인터로조 1-Day Disposable(67%), FRP(31%) 제외
뷰웍스 FP-DR 디렉터(50.8%), 동영상 디렉터(10.2%), 산업용카메라(22.4%) 제외
인바디 체성분분석기, 자동혈압계, 신장계 등 (95%) 제외
셀바스헬스케어 체성분분석기(52.7%), 혈압계(34.5%) 제외
클래시스 의료기기(43.1%), 의료기기 소모품(49.4%) 제외
이루다 고주파/레이저/복합 수술기(65.3%), 기타(20.9%) 제외
디알텍 X-ray 디텍터(86%), 기타(14%) 제외
하이로닉 HIFU 적용한 리프팅 장비 등(76.1%) 제외
루트로닉 피부용 레이저 의료기기(84.86%), 기타(15.14%) 제외
휴비츠 안과용 진단기 및 검안기(90%), 기타(10%) 제외
제이시스메디칼 HIFU, RF (49.%), 소모품(44.2%) 제외
(C21300)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
티앤엘 하이드로콜로이드(51.9%), 폴리우레탄 폼(16.6%), 정형외과용 고정제(17.9%) 제외
씨젠 감염성 검사제품(84.4%), 분자진단 장비(15.0%) 선정
수젠텍 현장진단제품(93.68%), 기타 진단제품(4.18%) 선정
엑세스바이오 말라리아 RDT(10.9%), 코비드-19 RDT(72.8%) 선정
파나진 PNA소재(33.3%) 유전자진단키트 등(55.9%) 선정
파마리서치 의약품(36.0%), 의료기기(46.0%), 화장품(15.4%) 제외
녹십자엠에스 진단제품 및 의료기기(65.9%), 혈액백류(7%), 당뇨(8%) 선정
메타바이오메드 덴탈의료기기(48.9%), 봉합사(37.3%), 기타(13.8%) 제외
세운메디칼 의료용저압지속흡인기(12.4%), 흡인용튜브카데타(13.2%), 수액세트(17.0%), 비뇨기과용 튜브카테타(12.4%), 스텐트류(9.4%) 제외
휴마시스 전량진단제품(3%), 정성진단제품(95.9%) 선정
바디텍메드 면역진단카트리지(81.2%), 면역진단기기(14.3%) 선정

 

[최근 4개 분기 경영성과를 적용한 PER 산출]

구 분 에스디바이오센서 진시스템 아이센스 나노엔텍 수젠텍 바디텍메드
회계기준 K-IFRS 연결 K-IFRS 개별 K-IFRS 연결 K-IFRS연결 K-IFRS 연결 K-IFRS 연결
당기순이익(백만원) 1,249,895 1,386 29,923 6,944 28,253 56,048
상장주식수() 103,271,353 6,879,180 13,737,238 26,800,627 15,460,416 23,486,560
EPS() 12,103 201 2,178 259 1,827 2,386
적용주가() 54,600 10,900 30,243 7,360 13,350 16,400
PER(x) 4.51 54.08 13.88 28.41 7.31 6.87
적용 PER(x) 19.18

PER 평균이 약 19 정도인데, PER 편차가 peer들간에 굉장히 큰 편 Peer 중 어디를 따라갈지 모르니 주의 필요

최댓값, 최솟값인 진시스템, 에스디바이오센서를 제외하고 평균을 낸다고 하면 14.12 정도로 조정 가능할 듯

 

적용순이익: 24년 추정순이익, 25년 추정순이익

구 분 내 용 비고
2024년 추정 순이익(백만원) 1) 12,558 A
2025년 추정 순이익(백만원) 1) 29,892 B
연 할인율 주4) 15% C
적용 당기순이익(백만원) 1) 12,239 D=(A/[(1+C)^3.25]+B/[(1+C)^4.25])/2
회사 적용 PER 배수 주2) 19.18 E
평가 시가총액(백만원) 234,740 F=(D*E)
발행주식총수 주3) 9,908,530 -
모집주식수 및 희석가능주식수 주3) 1,620,000 -
적용 주식수 주3) 11,528,530 G
평가 주당가액() 2) 20,362 H=F/G

 

 

연할인율은 15%로 낮은 편이나, 기준시점을 21 3분기로 잡아 할인 기간이 긴 편이긴 함

평가액 대비 할인율은 16.51~36.15% 로 굉장히 밴드가 넓은 편. 할인율 상단은 큰 편, 하단은 작은 편

 

21 3분기 기준 매출액 10억원 수준, 22년 예상 매출액 70억원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