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각, 교훈 14

무엇이 혁신인가? ("새로운"것만이 혁신은 아니다)

https://www.sbiz.news/news/articleView.html?idxno=21923 "혁신 바라보는 관점, 'NEW'에서 'BETTER'로 확대돼야" - 에스비즈뉴스(SBIZNEWS) 길어지는 투자 빙하기, 스타트업 정책은 과거와 어떻게 달라야 할까. 우리의 스타트업 또는 중소기업 지원 정책은 \'혁신\'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하지만 성과는 어떨까. 스타트업의 정책이 www.sbiz.news 오랜만에 관점을 환기하는 기사가 있어서 가져와봄. '트라이에브리싱' 행사에서 진행한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 오동윤 님의 강연 내용의 일부인데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이것. 지금까지의 혁신이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썸싱 뉴'(something new)'에만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면 앞으로는 ..

생각, 교훈 2022.10.05

북리뷰: <버블경제학> 로버트 쉴러(2009)

2009년 출간, 저자 로버트 쉴러 저자는 1946년 출생의 미국의 경제학자로, 201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 1981년에 이미 효율적 시장 가설에 도전하는 논문을 발표하며 시장의 비이성적 측면에 주목한 그는, 강연과 서적을 통해 행동경제학과 위험관리, 버블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며 사회에 경각심을 주고 있음 - 핵심 내용 Summary - 이탈릭은 개인 생각. 추가 정리 필요하나 아카이빙 차원에서 우선 업로드. 버블은 어떤 메커니즘으로 생기나? 주택가격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긴 하지만, 심리의 전염력, 제도의 한계 등을 함꼐 다뤄 현대의 주식시장, 코인 등에도 충분히 적용가능한 것으로 보임. 주택가격 = f(건축비, 인구, 장기대출이자율, X) 여기서 X의 중요성이 부각 → 앞의 factor들에 유..

생각, 교훈 2022.07.24

트렌드는 어떻게 사람 머릿속에 각인되는가?

사실 이 글은 식물 카테고리에 들어가야할지, 생각/교훈 카테고리에 들어가야할지에 대한 고민을 조금 했다. 내가 식물을 키우는 취미를 가지게 된 과정에 대해 생각해보다가 떠오른 것이기 때문에. 식물을 키우고 싶다고 생각한 계기는 크게 두 개 정도로, 1) 혼자 살아서 집에서 심심한데, 원룸이고 출근을 해야하니 동물을 키우기엔 부담이 있었다. 2) 인테리어에 관심이 늘고 집에 말린 꽃은 점점 늘어나는데, 살아있는 식물도 함께 있으면 예쁠 것 같았다. 이렇게 두 가지이다. 아니, 하나 더 있다. 3) 회사에 화분이 굉장히 많은데, 실내에서도 잘 자라는 것을 보았다. (우리 회사는 정말 사람 수 대비, 공간 넓이 대비 높은 식물 밀도를 보여준다. 농사를 취미로 하시는 대표님 취향이시지 않을까 생각.) 이렇게 세..

생각, 교훈 2022.03.29

매뉴얼이 부족한 회사에서 일하는 방법

역시 일은 까이면서 배우는 거라고 했다. 혼나다보면 이왕이면 가이드라인, 매뉴얼 주고 가르쳐주면 좋겠는데...왜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배워야하지 라는 생각이 문득문득 들지만, 사실 회사는 돈 주고 일 시키는 곳인데, 나보다 더 비싼 윗분들 시간을 써서 매뉴얼 만들기 + 월급 받는 시간에 친절하게 가르쳐주기 를 바라는 게 말도 안되는 것임을 상기하면 바로 정신을 차리게 된다. - 투심보고서는 이제 기가막히게 정리하는데, 보고서 쓰는 기계가 되면 안됨 - 스스로 생각해서 계속 "왜 이 숫자가 나오지?", "왜 이걸 하지?' 같은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는 게 중요함 - 회사가 지치지 않게 & 하지만 꼼꼼하게 질문을 주고받으며 검증 과정을 거쳐야함 (여기에는 질문의 표현방식도 들어간다. 너무 취조하듯이 하기보단 ..

생각, 교훈 2022.02.08

성공하는 사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1편: 기술 전문가의 사업 아이템 고르기]

광학기술 전문가가 있다고 하자. 그는 해당 기술을 이용해 의료용 진단기기를 만들 수도, 엔터테인먼트 기기를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그 후 그는 해당 제품을 구독 형태로 과금할 수도, 1회성으로 판매할 수도 있다.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하기 전, 그에게 정해진 것은 그가 광학기술 전문가라는 것 뿐. 그러면 무엇이 그 사업가가 기술을 활용할 분야를, 판매할 방식을 선택하게 만드는 걸까? 시나리오 1. 기술만 가지고 제품, 과금 구조는 시장 규모, 수익성을 바탕으로 결정한 경우 그는 뼛속부터 사업가이기 때문에, 내가 가진 기술로 가장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제품, 판매 구조를 선택했다. 시나리오 2. 사업을 하고 싶은 제품 분야가 먼저 확정된 후 가진 기술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 진출한 경우 그는 사업을 ..

생각, 교훈 2022.01.05

지하 물류 인프라와 상상력

추천을 받아 영상 하나를 보게 됐는데, 굉장히 유명한 건축학 교수 유현준님께서 3개월정도 전에 유튜브를 시작하셨다고 합니다. 건축 전문가 입장에서 도시 공간을 바라보고 도심 인프라,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을 말씀해주셔서 흥미롭고 생각치 못했던 것들을 찔러주신다는 점에서 추천합니다. 유현준 건축가 약력 - 연대 건축공학과 학사 / MIT,하버드 건축 석사 - 홍대 건축학 교수로 재직하며 유현준건축사사무소 운영 셜록현준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7uDyFIqExDnfXAIZqumFrQ/videos 셜록현준 유현준의 유튜브입니다~ #유현준 #공간 #도시 #건축 🔍 공간으로 세상을 이야기합니다 🔍 www.youtube.com 채널 소개부터 "공간으로 세상을 읽는" 이..

생각, 교훈 2022.01.03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 2 (feat. 마인즈랩 공모)

근데 이건 어떻게 좋게 말해주려 해도 강세라고 하긴 좀 그런데....? AI 컨셉 때문에 청약하려고 계좌 팠다가 재무랑 수측 경쟁률 보고 안하길 잘했지. 제2의 롯데렌탈이 될 뻔했다. 그런데 마인즈랩 공모는 왜 망한걸까? 잘될 이유 1. 요즘 관심도 극에 달한 메타버스, AI휴먼 사업 영위 2. 작은 시가총액 (밴드 상단 기준으로 해도 1,814억원) 안될 이유 1. 상대적으로 공모 시장 관심이 줄어드는 연말 2. 저조한 수요예측 - 그런데 수요예측은 왜 저조했는가? 3. 실질적인 실적을 내지는 못하고 있는 손실 기업 - 하지만 이런 기업 공모가 한두개인가 4. 상장 시점에 전자 오르며 메타버스 관련주 막 빠짐 일단 짧게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이렇게인데...확실하게 이거다 싶은 근거는 잘 모르겠다.

생각, 교훈 2021.11.23

2021.10.28 (목) - 바이오를 볼까 했다가 드랍

증시 사이클과 다르게 바이오가 많이 빠진 것 같아서, 낙폭과대? 하는 마음으로 바이오를 볼까 생각함. 현재 게임주, 메타버스에 온 관심이 쏠려있으니, 그게 진정되면 다시 바이오에 시장 관심이 올까? 싶었다. 그래서 리포트 확인. 내용을 보니 대체로 수긍되었고, 결론은 지금은 아니다. 였음. * 근거는, 20년의 3차 대세상승이 있은지 너무 얼마안됐기 때문 → 작년 급등에 대한 피로감 & 코로나 진단키트, 백신/치료제, 위탁생산 모멘텀이 모두 약화 * 바이오 업종 특징 - 의약품은 대표적인 필수 소비재 (바이오가 소비재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던 것 같아서..) - 업종 전방수요가 없음 - 폐암신약 / 유방암 신약 개발업체간 연관관계 없음 - 타겟시장이 달라서 - 실적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것도 아님 (말도 ..

생각, 교훈 2021.10.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