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1) 의미
- 수직이착륙 가능 항공기 활용해 도심 내에서 항공기를 이용한 이동 및 사물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도시교통체계를 말함
2) 시장 전망
- 이르면 2025년 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기대
-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시장규모 2040년 2천조 규모 전망
- 국토교통부는 2040년 UAM 시장규모 755조원 전망
UAM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항공기체제작기술 + 물리적 인프라(버포트 , 충전소 등) + 통신, 관제 인프라 + 운영 서비스,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 필요로 함
그 중 통신, 관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3사에서도 적극적으로 UAM 신사업 추진.
[통신사가 신사업을 폭넓게 확장하는 이유는 결국
주사업인 통신사업의 성장성이 제한되어 있어 성장동력을 외부에서 찾아야하기 때문]
2. 통신3사의 UAM 사업 투자
1) SK텔레콤
- CES2023에서 항공기 형태의 가상 시뮬레이터 체험 진행
- 미국 조비에비에이션 CEO와의 미팅 진행. 국내 도입 시 형식증명절차, 초기 UAM 수요를 위한 시범사업 추진 방안, 버티포트 인프라 확보 방안 등 논의
*) 조비에비에이션 - 2020년 미국연방항공청으로부터 상업비행허가(G-1) 인증 최초 획득
2) KT
- 22년 10월 도심항공모빌리티를 위한 5G 통신 항공망 구축 완료 및 성능 검증 진행했다고 발표. 해당 항공망은 국토교통부 주관 '한국형 도심항공모빌리티 그랜드 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에 활용
- 핵심 기술
3차원 커버리지: 300~600m 고도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서비스 제공하는 역할 수행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제와 제어 데이터 전송 신뢰성 높여 UAM의 안정적 운항을 도움
3) LG유플러스
- 서울교통공사와 도심항공모빌리티 복합환승센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주요 대중교통 환승지역에 UAM을 포함하는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하기 위함
- 노선 운영을 위한 교통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제반 통신기술 실증 진행 담당
+ 사업 추진 특징
- 주로 이종 기업, 기관과의 협업으로 진행 [앞서 언급했듯 기체 제작, 인프라 등 복합 기술 적용이 필요하기 때문]
* SK텔레콤
한화시스템(기체제작), 한국공항공사(이착륙인프라, 운항관제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사회적 수용성 연구)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 + 조비에비에이션과 사업협력
* KT
현대차(기체제작,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현대건설(이착륙 인프라), 인천국제공항공사(이착륙 인프라, 운항관제시스템) 등
* LG유플러스
오모빌리티(모빌리티 시스템), GS칼텍스(시설 및 인프라), 제주항공(운항관제시스템), 버티컬에어로스페이스(기체제작) 등
이밖에도 롯데 컨소시엄,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컨소시엄, GSITM 컨소시엄 등 모두 6개 컨소시엄이 경쟁 대열에 합류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04162
'정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IA하에서 항공기 탄소배출권 거래 기준 (1) | 2023.07.06 |
---|---|
2023 외식 트렌드 키워드 Top 10 (0) | 2023.01.19 |
(230103) 돈 되는 폐플라스틱…2년 새 가격 두 배 뛰었다 + 주요 대기업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정리 (0) | 2023.01.09 |
2022년 무역적자 472억 달러, 14년만에 역대 최악 (0) | 2023.01.03 |
(221226) ‘탈원전’ 외치던 세계, 다시 ‘원전 회귀’ (1)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