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상장기업 투자사기 세계의 한 획을 그은 김성진.
벤처기업 / 상장사 / 암호화폐에 걸쳐 광범위한 사기를 저지른 사람이기에 어느 쪽에 주로 투자하는 투자자이건 한 번쯤 사례를 보고 뒤가 구린 사업의 유형을 하나 더 알아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해봤습니다.
이 글은 사실 코어닥스 투자유치 기사에서 시작한 시리즈물로, 1편(테슬라바이오랩)에서 넘어오지 않으신 분들 중, 현재 살아있는 김성진 관련 회사가 궁금하다면 다음 게시글들도 확인해보세요.
2022.10.05 - [분류 전체보기] - 가상자산 거래소 '코어닥스', 220억 투자 유치
2022.10.05 - [분류 전체보기] - 테슬라바이오랩...그 희한한 회사에 대하여 (feat.아이카이스트)
| 아이카이스트
아이카이스트 = 240억 사기 김성진의 회사
아이카이스트는 2011년 카이스트가 출자해 설립한 최초의 자회사로, 카이스트와의 협약을 통해 5년동안 '카이스트' 이름을 사용할 권리를 얻었다고 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양방향 스마트 교육 소프트웨어 '스쿨박스'와 대면적 IT 디바이스 '터치플레이' 등이 있는데,
터치식 전자스크린 터치플레이가 전국 교육청에서 도입되고,
2013년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 1호 벤처기업으로 선정되며 성공가도를 달리는 듯 했음.
(이 시절 회사의 대표 김성진은 "창조경제의 황태자"로 불리기도..)
그런데 16년 9월 대표 김성진이 사기최로 구속됨.
사유는 투자금 유치를 위한 매출 부풀리기와 240억원 가량의 투자금 횡령,
그리고 600억원대의 허위세금서 발행 혐의 등이었고
수사 과정에서 교도관에게 뇌물을 줬다가 적발되기도 함.
결국 김성진 대표는 17년 9월 1심에서 징역 11년과 벌금 61억원을 선고받고,
18년 3월 항소심에서 징역 9년과 벌금 31억원을 선고받아 현재 서울구치소에 복역 중이다. (25년 9월 출소 예정)
복역 중에도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음.
공시도 없고, 참여자도 한정적인 벤처기업만 간단하게 해쳐먹은 게 아니라 상장사와 가상화폐, 정치계까지 안 건드린 게 없다.. 진짜 어떤 의미로는 난 놈이긴 한 듯하다.
심지어 수감된 이후로도 로비, 소송 등 여전히 다양한 활동도 벌이고 있고, 살아있는 회사는 투자 활동까지 벌이고 있다니 놀라울 따름.
1) 7300억 비트코인 보유 주장
- 2017년, 아이팩토리(아이카이스트 투자 상장사(였음)) 주주들에게 피해 보상을 받고 싶다면 본인을 출소시켜달라고 설득해 주주 18명이 합의금 명목으로 3억원 전달. 그 과정에서 김성진은 본인이 광둥 슈퍼컴퓨터에 비트코인 7300억원어치를 보유했며 자필 편지로 코인 획득 경위, 지갑 주소와 찾는 방법 등을 전달했다. 김성진이 언급한 지갑에 실제로 6.6만개의 비트코인이 들어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해당 지갑의 private key가 광동 슈퍼컴퓨터 내에 있다는 김성진의 주장은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라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
2) 가상화폐 사업 진행 허위보도
- 2016년 아이카이스트랩이 한국금거래소와 금 거래 기반 전자화폐 독점 사업 진행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나, 김성진 대표 사임 이후 아무런 소식 없었음
- 2017년 11월, 한 IT전문매체에서 아이카이스트그룹이 하드웨어 기반 가상화폐 HD코인 개발했다는 내용 보도 → 해당 매체에 홍보대행사를 통해 의뢰가 들어왔으며, 별도의 사실확인 없이 기사 개제된 것
3) 정치인 뇌물, 접대
- 2018년에 과거 14년 7월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에게 단통법을 완화해달라며 공진단 2박스(시가 약 1천만원) 공여한 것 밝혀짐 (법원 판결에서 뇌물로 인정되진 않음)
- 2022년 현재 이준석 성접대 의혹의 중심인물로 연루되어 접대 사실 인정하는 진술을 했으며, 구치소에서 여러 차례 경찰조사를 받음. 게다가 9월 2일 국민의힘 입당신청서를 냄(입당은 당연히 불가능하지만 신청서 낸 거 보니 엄청난 관종)
4) 세금반환소송 패소
- 과거 아이카이스트와 아이플라즈마가 국가를 상대로 부가가치세 과오납금 반환 청구 소송 제기했으나 22년 1월 패소. 김성진 측은 사기 수사 과정에서 진행된 세무당국의 혀위 매입액 산정이 부당하다며 2.3억원 상당의 세금을 반환할 것을 청구했으나 기각된 것.
김성진이 구속되며 아이카이스트만 망하고 끝난 것이었다면 기뻤겠지만, 관련된 상장사가 다수 있어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게 됐다.
아이카이스트와 관련있던 상장사
1) 폴루스바이오팜 (지금은 상폐)
지에스인스트루먼트(88년 10월 상장) → 아이카이스트랩(16년 8월~) → 암니스(16년 12월~) → 폴루스바이오팜(18년 1월~) → 상장폐지(22년 2월)
- 원래 통신용 계측기, 중계기, 선형전력 증폭기 등 판매 기업
- 16년 6월말, 상장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를 아이카이스트에서 인수한 후 아이카이스트랩으로 사명변경, 김성진 공동대표 취임
- 16년 9월, 김성진 대표 및 관련임원 사임
- 16년 12월, 사명 아이카이스트랩에서 암니스로 변경하며, 신재생에너지, 항공기 부품공급업 등 신사업 추진하겠다 발표
- 17년 12월 폴루스홀딩스에게 3자배정 유상증자 진행 후 폴루스바이오팜으로 사명변경. 폴루스는 셀트리온 핵심인력 출신자가 설립한 바이오제네릭 개발 회사로, 암니스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임.
- 19년 8월 회생절차 개시신청 / 20년 횡령, 배임공시 등 계속 문제 일으키다가 22년 2월 결국 상장폐지됨
2. 아이팩토리 (지금은 상폐)
케이엘티 → 아이팩토리(15년 8월~) → 상장폐지(16년 9월~)
- 아이팩토리는 한때 아이카이스트의 생산전담 호재로 시가총액이 2,500억원에 육박하였으나, 갑작스런 감자 발표로 주가가 하락했으며, 여기에 전 허대영 대표의 배임이 적발되어 거래소로부터 거래정지
- 상장폐지 결정 후 안동준 대표 해임되고, 아이카이스트랩에서 퇴임한 김성진이 단독대표로 취임 (이 때 이미 김성진 구속기소 이후임)
- 김성진과 함께하는 주요 인사인 엄의석, 조규하 등도 아이카이스트랩에서 사임하고 아이팩토리 임원으로 등기
- 정리매매 이후 아이카이스트가 주주들에게서 5,000원에 매입 진행할 것이라고 밝히며, 이후 인수협의 완료된 상장사와 합병으로 해외사업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주장
+) 테슬라바이오랩의 흔적
기사에서 언급된 "사내 바이오 벤처회사"가 2편에서 설명한 테슬라바이오랩인 듯.
구속기소 이후인데 사람이 참 꿋꿋하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
(관련 기사)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44090
아이카이스트, 아이팩토리 주식우선매입 계약 시작 - 데일리그리드
아이카이스트(대표 김성진)는 코스닥 상장기업이었던 아이팩토리의 주식에 대해 우선매입 계약 체결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아이카이스트는 지난 9월 정리매매 이후 아이팩토리 주식을 1주당
www.dailygrid.net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9916
아이팩토리, 인수협의 완료된 새 상장사와 곧 합병 - 충청일보
[충청일보 조신희기자] 아이팩토리가 8일 김성진 현 각자대표를 단독대표로 추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안동준 대표는 전격사임하였다. 아이팩토리 회사를 정상화하고 공장가동에 전념하겠
www.ccdailynews.com
그 외 실체가 모호한 다수의 자회사...
아이스마트터치, 아이플라즈마, 아이스토리, 스마트리라인스티튜트 등
다음 기사를 보면 아이카이스트가 자회사 간 거래로 어떻게 돈을 빼돌렸는지 꽤 자세하게 나와있음.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12677
[현장] '창조교육 게이트' 아이카이스트 공판…“자회사 간 거래로 허위 매출”
김성진 대표의 자금담당 핵심 측근 “자회사들 영업 활동이나 이윤 발생 행위 없어”
www.bizhankook.com
여전히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이름의 기업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아이카이스트 상장사 인수 후 뉴아이팩토리로 사명 변경하겠다고 했으나, '뉴아이팩토리'라는 이름 가진 상장사 존재했던 적 없음.
DART 검색 결과도 아이카이스트 까지만 조회되고(공시는 없지만) 뉴아이팩토리/뉴아이팩토리홀딩스는 없는 상황.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2534&replyAll=&reply_sc_order_by=C
아이카이스트, '뉴아이팩토리'로 혁신 나선다 - 충청일보
아이카이스트(대표 김성진)가 ‘뉴아이팩토리’로 상장사 이름을 변경하고 혁신에 나선다.아이카이스트에 따르면 “최근 인수 협의 완료된 상장사 이름을 뉴아이팩토리로 변경한다”며 “주
www.ccdailynews.com
지금 확인 가능한 흔적은 스트래튼자산운용의 조합을 통해서 바이오닉스진 유증에 참여했다는 기사 정도임.
[기사에서 확인 가능한 뉴아이팩토리홀딩스의 대표이사는 강용수=한국전자금화폐 대표=테슬라바이오랩 등기이사]
https://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8101011367857307
뉴아이팩토리홀딩스, 바이오닉스진의 유상증자에 참여
코스닥 상장사 바이오닉스진(舊 닉스테크)의 최대주주 유상증자 대상자인 ‘스트래튼배당성장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1호’ 운용자인 ㈜스트래튼자산운용은 뉴아이팩토리홀딩스(대표
theleader.mt.co.kr
그러나 이것도 결렬.
(2018.06.15 최초공시)
- '스트래튼배당성장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1호' 바이오닉스진에 약 200억원 출자해 약 277만주 취득 공시(3자배정 유상증자) → 유상증자 진행 시 최대주주 (주)서울생명공학에서 위 조합으로 변경되는 건이었음
- 뉴아이팩토리홀딩스에서 해당 조합에 50억원 출자해 합류하겠다 발표 (이 금액 포함해서 200억원인지, 증자금액 증가한건지 모르겠음)
(이것도 DART 공시에서 찾을 수가 없음...)
(2018.10.23 정정공시)
- 스트래튼 조합에서 '케이클라비스캐피탈전문투자형사모증권투자신탁'으로 인수자 변경되었다는 정정공시 나옴 [투자금액은 여전히 200억원인데 배정주식수는 336억원(더 낮은 가격으로 변경)]
(KIND 원본 공시를 찾아오려고 했으나 이상하게 주소 복사가 안됨...DART 공시에서도 조회가 안됨. 다음 링크 참조)
http://vip.mk.co.kr/news/view/21/28/685435.html
(주)바이오닉스진 (정정)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 정 신 고 (보고) 2018년 10월 23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유상증자 결정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18년 06월 15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9. 납입일 납입일 변
vip.mk.co.kr
그리고 뜬금없이
(2018.09.20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이것만 DART에 남아있음. 정정공시랑 시점 상으로도 이상하고 다 이상한데....
어이없게도 유증 얘기는 다 어디가고 (주)서울생명공학에서 (주)마인드크립션 에 약 191억원을 받고 약 238만주를 양도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한다는 공시만 남아있음.
근데 (주)마인드크립션이 어디냐...
뉴아이팩토리홀딩스가 스트래튼 조합으로 투자한다고 했을 때, 투자 후 협업 계획에 언급되었던 회사이다.
그런 회사에서 아예 직접 인수에 참여한다고 하니 너무 수상한것. [최대주주 (주)레미글로벌 / 대표이사 조민현]
(2018.10.30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체결 정정공시)
그리고 결국 인수자의 잔금 미지급으로 계약 해지.....
이번 건도 결국 허무하게 끝나긴 했지만, 뉴아이팩토리홀딩스, 테슬라바이오랩 등 대표자명은 다르지만 살아있는 관련 기업들이 있는 한 조심을 하긴 해야할 것 같다.
앞으로도 어떤 상장사, 비상장사들이 미심쩍은 회사들에 영향을 받을지 모르니.
눈에 띄는대로 연결지어서 정리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정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225) "회사 송년회도 취소됐습니다" 비명…직장인 주머니 '텅' (0) | 2022.12.26 |
---|---|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0) | 2022.12.22 |
테슬라바이오랩...그 희한한 회사에 대하여 (feat.아이카이스트) (0) | 2022.12.05 |
SNS플랫폼 트렌드 : Tik Tok (바이트댄스)의 성장 (1) | 2022.11.22 |
플라스틱 재활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