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플라스틱 글로벌 시장 성장률
- 화학적 재활용은 2027년까지 연평균 17%,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2026년까지 연평균 33.5% 성장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리사이클링산업의 시장 규모가 2019년 3300억 달러(약 474조 원)에서 2027년 5137억 달러(약 74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 (출처: 삼일PwC)
-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산업 시장은 올해 451억 달러(약 54조 원)에서 2026년 650억 달러(78조 원)까지 연간 7.5%씩 상승할 전망 (출처: Research&Market)
-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이 연간 11.5%씩 성장해 2030년에는 168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에 도달할 것 (출처: 얼라이드마켓리서치)
2. 주요 쟁점
1) 폐플라스틱 재활용
- 재활용 업계와 석유화학 업계의 분리로 화학적 재활용 등 기술 적용 어려움 (화학적 재활용은 석유화학 플랜트와 유사한 기술 적용)
- 염소 등 불순물 문제, 정유 공정에 열분해유 투입을 막는 규제 → 화학적 재활용한 폐플라스틱 원료화 어려움 [현재 규제 샌드박스로 석화 공정에서 열분해유 활용 한시적 허용 상태]
- 국내 화학업체들 해외 기업과 협업으로 기술 개발 중 [SK지오센트릭 - 미국 Pure Cycle Technology, 캐나다 LOOP Industries 와 협업으로 재활용플라스틱 소재 개발 등]
2) 생분해성 플라스틱
- 기존 플라스틱의 재활용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별도의 수거와 처리 체계 구축 필요
- 글로벌 인증과 상호인정 가능한 인증 신설
- 기업들의 사업화를 위한 국내 인센티브 지원체계 마련
- 식품용기 등 소비재 외에 플라스틱 집중 활용중인 산업분야(농업용 멀칭필름, 해양 어망/어구 등)로 제품군 확장 [국내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의 74%, 해외는 62%가 소비재]
http://www.plastic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37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활성화 방안 정부가 나선다 - 플라스틱코리아
재활용-석유화학 업계 간 폐플라스틱 재활용 상생협력 방안 마련도플라스틱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 관계자,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화학산업의 다양한 쟁점에 대한 의견을 모으
www.plastickorea.co.kr
http://www.plastic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18
미래기술교육연구원, 폐자원의 화학적 리사이클링 기술과 원료 세미나 개최 - 플라스틱코리아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11월 1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폐자원의 화학적 리사이클링 기술과 원료 및 제품 생산 방안-열분해, 가스화, 해중합을 통한 원재료 추출과 응용
www.plastickorea.co.kr
http://www.plastic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20
SK지오센트릭, 독일에서 세계 첫 ‘폐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 소개 - 플라스틱코리아
세계 최초로 구축 중인 ‘폐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 소개… 2025년 완공 목표친환경제품 브랜드 ‘싸이클러스(CYCLUS)’ 런칭, 플라스틱 사용 감축 종이컵과 고부가제품 등 전시SK지오센트릭
www.plastickorea.co.kr
'정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바이오랩...그 희한한 회사에 대하여 (feat.아이카이스트) (0) | 2022.12.05 |
---|---|
SNS플랫폼 트렌드 : Tik Tok (바이트댄스)의 성장 (1) | 2022.11.22 |
ESG 키워드는 친환경·탄소중립 (0) | 2022.10.11 |
'카톡 송금하기' 등 계좌번호 입력없는 간편송금 금지 (0) | 2022.08.18 |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