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닥스 투자 기사 보다가 너무 이상해서 홀린 듯 캐보게 된 회사.
캐다보니 테슬라바이오랩 하나로 끝나지 않아서 2편으로 적어봤다.
1. 테슬라바이오랩
2. 아이카이스트 & 김성진
| 테슬라바이오랩
우선 코어닥스에 투자한 주체인 테슬라바이오페이는 핀테크 서비스 제공회사라고 하는데,
대표 서비스로는 터치스크린에 QR Code 대신 손바닥을 인식시켜 간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가 있다고 한다. - 손가락 지문 아니고 손바닥? 어디서 쓰고있는지 궁금...나중에는 손바닥 정전용량 터치 방식으로 질병진단까지 하겠다는 듯.
모회사가 아니라 왜 굳이 테슬라바이오페이로 투자했는지가 궁금하지만, 그건 알아볼 방법이 없으니 일단 모회사로 넘어가봄. (모회사 자본금이 20억이던데... 테슬라바이오페이의 투자금 220억은 어디서 나왔는지도 궁금)
모회사는 테슬라바이오랩이라는 회사인데, 국내회사이고 당연히 머스크의 테슬라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16년 설립인 거 보면 고의적인 어그로이지 않을까)
테슬라 자기공명 기술을 사용한 마스크? 가 초기 주제품이라 여기서 따온거라 하기는 함.
여기서 더 재밌는 건, "카이스트의 자회사 아이카이스트의 사내 바이오벤처로 시작"했다는 것.
아이카이스트가 왜? 하신다면 이 내용은 2편 "아이카이스트와 김성진 그 사기의 역사"에서 계속.
다시 테슬라바이오랩으로 돌아와서,
본업에 대한 얘기는 미뤄두고 여기서 주목할 건 여기저기 기업 인수/투자 건으로 건드려 본 것은 많으나 반박의견&철회 등 다양한 풍문만 만들고 있다는 것.
1) 화학바이오기업 '다나온' 인수?
테슬라바이오랩은 20년 9월 화학바이오기업인 '다나온'을 인수했는데,
https://www.khan.co.kr/economy/market-trend/article/202009071355018
지금은 계열사 목록에 없다. 어디간걸지 의문.
2) 엔터 매니지먼트 기업 '판타지오' 유상증자 200억원?
그리고 위의 같은 기사에서 테슬라바이오랩에서 판타지오 200억원 유상증자 공시도 했다고 함.
(20년 9월 기사. 이 부근 공시를 확인해보니 진짜 있긴 함.)
→ 그러나 최종적으로 8월말에서 11월로 일정 연기 후, 최종 철회 결정.
3) 엘엠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으로 명문제약 인수?
21년 12월 엘엠바이오사이언스와 테슬라바이오랩 공동으로 명문제약 인수한다는 얘기도 있었음. 엘엠바이오사이언스가 홈페이지에 게재했는데 명문제약 측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힘
https://mdtoday.co.kr/news/view/1065602216765136
그 전에 엘엠바이오사이언스와 테슬라바이오랩은 MOU 체결한 사이임. (MOU 내용: 엘엠바이오사이언스 (대표이사 윤정현)는 영업권 인력, 테슬라바이오랩 ( 대표이사 임지영 변호사)은 영업권 및 지적재산권, 인력을 공동 제휴)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784
결국 생각해보면 기사만 나고 정상적으로 완료되어 유지 중인 투자는 없는 것에 가까움.
새롭게 기사 난 '코어닥스'도 어떻게 될 지 지켜봐야지.
그렇다면 테슬라바이오랩은 정말 현재 대표이사인 엄지영이 평범한 과정을 거쳐 설립한 사내벤처일까?
엄지영 변호사 백그라운드가 단독으로 테슬라바이오랩 창립하기엔 무리가 있어보여서 열심히 뒤져본 결과,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508/95433902/1
결국 찾음.
테슬라바이오랩 창업자도 김성진.
19년 5월 20억원 유상증자하며 임지영 변호사를 공동대표로 선임. (회사 설립일은 2016년 11월 11일)
투자자는 밝혀지지 않음.
사실 설립하자마자 주주공개청약 진행했으나 19년 증자할 때 자본금 100만원인거 보면 실패한 걸로 보임.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219
19년 증자한 투자사에서 100억원의 후속투자 진행할 계획 있다 했는데, 증자후 P2P대출 기업 합병 진행하려고 했나봄.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6141555018
그 외 재밌는 거,
등기이사 강용수 님은 한국전자금화폐 대표이사.
한국전자금화폐의 사업도 꽤 흥미롭(=수상함).
"AI인식 금주화 기반 전자금화폐 유통플랫폼 서비스 회사"라고 하는데
내용을 살펴보니 화폐가치를 정부가 보증할 필요 없도록 금화를 발행한다(심지어 1돈).
[디지털 금이라는 별명을 넘어 진짜 금!]
금화에 레이저로 패턴을 새겨서 스마트폰 카메라로 인식하면 정품인증도 가능하고,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 전환도 가능하다고 한다.
이 회사도 뉴아이팩토리홀딩스의 자회사ㅎ
+) 한국전자금화폐는 한국핀테크산업협회(KORFIN)의 정회원사다.
http://korfin.kr/en/member/info_list.php
19년 3월 BTCC와 포괄적 금융사업협약 체결. [BTCC 창업자 바비리, 대표 이재범]
https://www.sp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563
이번에 코어닥스에 투자한 데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기도.
김성진 아저씨 석방 시도할 때도, 회사 주가 펌핑할 때도 이미 암호화폐 소스를 참 많이 가져다 쓰고 있긴 했지만.
다음 편 [아이카이스트와 김성진 사기행각]도 조만간 가져와야지.
'정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0) | 2022.12.22 |
---|---|
아이카이스트와 김성진 사기 행각 (2) | 2022.12.06 |
SNS플랫폼 트렌드 : Tik Tok (바이트댄스)의 성장 (1) | 2022.11.22 |
플라스틱 재활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 (0) | 2022.11.02 |
ESG 키워드는 친환경·탄소중립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