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비상장 분석

<IPO분석> 성일하이텍 [+ 2차전지 소재주 Summary]

1HO 2022. 7. 18. 00:06

엄청난 경쟁률과 미미한 자본력으로 대신, KB 두계좌 청약했으나 한 주도 받지 못함...그래도 오랜만에 역대급 공모경쟁률을 보인 종목이니 상장일 주가추이 확인 후 리뷰 예정!


0. 의견

공모 후 주가 흐름이 대부분 괜찮았던 2차전지 관련주이기도 하고(게다가 기존에 시장에 존재하지 않던 폐배터리 리사이클로 높은 영업이익률 기록 중(22년 1분기 19%!)), 공모금액이 큰 것은 단점이나 무난한 밸류에이션과 높은 기관경쟁률(2269.68:1)을 보인 종목이기에 개인청약 참여 예정.

1. 제품과 서비스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ESS(에너지저장장치), 전동공구 등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리튬이온2차전지(이하, 2차전지)로 부터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리사이클 전문기업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과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통해 배터리 셀 가격의 30%를 차지하는 양극재 소재를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황산망간 및 탄산리튬 형태로 생산해 판매

2000년 설립 후 금,은 등 귀금속 재활용 사업을 영위했으나 점차 배터리 재활용 분야로 사업 이전
초기에는 양극재, 음극재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리사이클링 파크 운영해 배터리파우더(블랙파우더)를 생산하다가,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폐배터리에 포함된 유가금속 재활용 생산하는 하이드로 센터(2차전지 소재공장)를 운영
현재는 귀금속 재활용과 2차전지 리사이클링 부문을 각각 법인분할해 동사는 2차전지 리사이클링에 집중

해외 법인 다수 설립해 배터리파우더를 생산해 수입하고, 본사인 군산 하이드로센터에서 제품화

해당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폐기물관리법과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인허가 획득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형성되어있으며, 부분적 상업화에 성공한 '타운마이닝컴퍼니'외에는 2차전지 재활용 사업의 상용화에 성공한 회사 없음
최근 포스코HY클린메탈, 에코프로씨엔지, 에네르마(GS건설 계열) 등은 최근 법인을 설립하여 사업화를 위해 공장건설 등을 시작하였으나 상업화에 기간 소요될 것으로 보임
그 외 비재활용 황산니켈 업체로 고려아연의 자회사 켐코(KEMCO, 황산니켈 생산량 업계 1위) 존재하며,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움직임 있음

동사는 리사이클링에 필요한 전 공정을 갖춰 모든 형태의 스크랩을 재활용할 뿐만이 아니라 배터리 셀에 포함된 주요 5대 금속(코발트, 니켈, 리튬, 망간, 구리)을 모두 회수할 수 있는 기술과 양산성을 확보했음
시장 성장 동력으로는 전기자동차 수요 증가가 메인.

동사에서 생산하는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제품은 기존의 광산으로부터 추출된 제품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확보하였고, 소재를 추출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도 60~70% 절감할 수 있음 [향후 친환경 관련주로도 각광받을 수 있음]
전해채취의 방법으로도 니켈과 구리를 추출하여 전해니켈과 전해구리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제품들은 음극재 또는 산업용으로는 합금재료 및 도금용으로 사용이 되고 있음


✔️ 제품별 매출 비중

 

 

2. 밸류에이션

EV/EBITDA 밸류에이션 방식 적용

 

1) Peer

Peer는 동사의 수요처인 2차전지 완제품 제조업체, 부품제조업체를 제외한 2차전지 소재(코발트, 니켈, 망간) 생산 회사에서 선정  
그 중 20년, 21년1분기 영업이익 흑자 기업, 비경상적인 멀티플을 제외한 15~50배의 EV/EBITDA를 가진 회사 중에서 선정 (+ 12월 결산, 경영상 주요 변동 없음 등 기본적 조건 포함)

최종 선정 회사는 3개사: 엘앤에프, 콧스모신소재, 천보

 

2) 적용 EV 및 할인율

적용 EBITDA는 23년 추정 EBITDA이며, 추정치의 현가 할인율은 23%임
이후 평가액 대비 할인율은 38.15~27.82%로 무난한 수준.
이를 반영한 희망공모가 밴드는 40,700~47,500원이며 시가총액은 4,729~5,519억원이다.
[확정공모가인 50,000원 기준으로는 5,809억원임]
시가총액대비 공모금액이 1,268억원으로 높은 편이다.

 

추정손익을 쓴 점이 불안했으나, 22년 1분기 영업이익이 10,049백만원이 나온 점을 고려하면 시장에서 과대한 추정이라고 생각하진 않을 듯하다.

 

+) 또 다른 신규상장 2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가 궁금하다면 새빗켐도 참조!! 👇👇

https://1ho-blog.tistory.com/130

 

IPO분석: 새빗켐 - 성일보다는 아쉬우나 오히려 좋아

0. 의견 KB, 대신 두 계좌 청약했으나 한 주도 받지 못한 성일 하이텍에 이어, 2차전지 배터리 재활용주가 연달아 상장 시도. 여러 조건이 성일하이텍보다는 안좋은 부분이 있어 그보다는 조금 낮

1ho-blog.tistory.com


<번외> 이차전지 소재주 Summary

동사 주관사에서 선정한 2차전지 소재 Peer의 주요 사업 영역임 (22년 1분기 기준)

그 중 형광펜 친 선정회사의 사업 영역을 자세히 알아보자.

* 후성
반도체 에칭,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 /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 가전,산업용 냉매 등을 생산하는 기업. 아쉽게도 반도체 공정 가스, 2차전지 첨가제 간 매출비중이 나와있지 않음

* 천보
2차전지 소재인 전해액 첨가제가 전체 매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매출은 LCD식각액 첨가제 24%, 기타(의약품중간재, 유리강화제, 용매제 등)가 6.7%를 차지.

전해액 첨가제는 전해액에 투입되어 성능(에너지밀도, 수명, 충·방전시간) 및 안정성(폭발 방지)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동사가 납품하는 전해액 첨가제로는 구체적으로는 SN, DPN, AN 등이 있음. 중대형 리튬이온 전지에 들어가는
LiFSI, LiPO2F2 , LiBOB, LiDFOP 또한 16년부터 단계적으로 상용화 공장을 가동하며 생산 중

※ SN=주석, DPN=디포스포피리딘 누클레오티드(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AN(=아크릴로니트릴


* 코스모신소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매출비중이 53%, 다음으로는 MLCC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이 41%, 프린터 토너가 6% 정도.

양극활물질의 경우에는 기존에 IT기기용 소형전지에 주로 쓰이던 LCO가 주력이었으나, 18년부터 ESS, EV용 중대형전지의 주요 소재인 NCM양극활물질로 사업 확대해 현재는 NCM 비중이 95%이상

※ LCO=리튬코발트산화물, NCM=니켈코발트망간

소재별 배터리 특성은 다음 링크 참조 👇
https://m.blog.naver.com/whdals2636/222072683144

 

'양극재 종류 정리(NCM, NCA, LFP, LCO)'

2차전지 섹터에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배터리가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음에 확신을 느끼고 있는 중이다. ...

blog.naver.com


* 포스코케미칼
국내에서 유일하게 배터리 소재 중 음극재, 양극재를 둘 다 생산하는 회사이며, 배터리 소재의 매출비중은 약 50% 수준임.

그 외에는 생석회, 화성품을 가공해 판매하는 라임화성 사업이 약 31%,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 노재 사업이 21% 정도.

음극재의 경우 천연흑연, 인조흑연, 실리콘계 음극재를 생산하며, 양극재는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하며, 최근 NCMA,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등 사업 진입


* 에코프로비엠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 매출 비중이 99.5%로 대부분을 차지.

동사의 양극활물질은 하이니켈계 양극소재로서, 코발트 대비 니켈 함량을 높혀 원가를 절감 및 용량를 확대시킨 소재로 고출력 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분야가 확대되어 가고 있음
(NCA, NCM, L2N, P-NCM 등)


* 엘앤에프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NCM 등) 매출 비중 94.42%, 그 외(소성용기, 양극재 반제품) 1.5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