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정보, 뉴스

하이퍼로컬 (Hyper-Local)

1HO 2021. 9. 9. 20:23

1. 하이퍼로컬 트렌드를 타게팅한 서비스

(해외)

* 넥스트도어 (미국)

- 중고거래, 지역 소식 및 생활정보 공유 플랫폼

- 기업가치 5조원 이상 .

- 미국 가정의 1/3이 사용하며, 11개국으로 서비스 확장함.

 

(국내)

* 당근마켓

* 네이버 이웃톡, 동네시장

* 직방 컨시어지 아파트 입주민 커뮤니티 모빌인수

* 알바몬 동네알바 등

 

 

2. 하이퍼로컬 비즈니스의 장점

- 락인(Lock-In) 효과 기대 가능. [특정 생태계를 조성해 재화나 서비스 이용 시 다른 선택을 제한하게 종속시켜 재구매를 촉진시키는 현상]

- 국내는 라스트마일 물류망 구축이 잘 되어 있으며, LBS(위치기반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발달로 하이퍼로컬에 적합.

 

 

3. 하이퍼로컬 서비스 트렌드: 로컬 크리에이터

- 로컬스티치의 동네호텔 / 카모아 울릉도 렌터카 실시간 예약 서비스 등.

- 지방, 구도심을 콘텐츠의 보고(寶庫)로 인식,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 개발을 하면서 해당 동네 생활권을 활성화

- ‘동네 부심’ 문화가 핵심.

단순히 지역민 우대, 특산물 판매 식의 ‘등가교환’ 개념이 아님.

‘우리 동네만의 제품, 우리 동네 사람만 아는 정보’인데 이게 전국적으로 알려졌을 때 독특하고 참신한 가치로 인정받아 외부인까지도 끌어들이면서 새로운 동네 생활권이 만들어지는 개발 방식. (<플랫폼의 생각법>, 이승훈)

 


 

(210824) ‘하이퍼로컬’이 뜬다당근마켓 몸값 3동네 생활권이 金

https://news.mk.co.kr/v2/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1&no=819663

 

‘하이퍼로컬’이 뜬다…당근마켓 몸값 3조 ‘동네 생활권’이 金

“혹시 당근?” “네, 여기요~.”중고 물품을 지역민들끼리 ‘당근마켓’을 통해 교환하는 모습이다. 지역 밀착형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은 이처럼 일상 풍경을 바꿔놨다. 단순 물품 거래뿐

news.mk.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