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정보, 뉴스/비철금속

원자재 Watching: 금속선물ETF 지속 상승 원인은? + 배터리/전기차 기업에의 영향

1HO 2022. 2. 21. 23:26

https://www.msn.com/ko-kr/money/topstories/%EB%9F%AC-%EB%B3%80%EC%88%98%EC%97%90-%EC%9B%90%EC%9E%90%EC%9E%AC-%EC%8B%9C%EC%9E%A5-%EC%9A%94%EB%8F%99-%EB%8B%88%EC%BC%88-%EC%95%8C%EB%A3%A8%EB%AF%B8%EB%8A%84-%EA%B0%92-%EA%B8%89%EB%93%B1/ar-AAU5Gh0

 

러 변수에 원자재 시장 ‘요동’ 니켈·알루미늄 값 급등

러시아·우크라 군사 긴장 고조에 ‘광물지수’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 배터리 등 소비자 부담 가중 우려 우크라이나 충돌 위기 속 ‘눈물의 작별’ 1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에

www.msn.com

http://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91129 

 

협상 가능성에.. "좋다", 알루미늄 가격 하락

알루미늄 가격이 큰 폭의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국제 정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알루미늄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에 외교적 해결이 거론되자 다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런던금

www.snmnews.com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06871 

 

(영상)신재생 확대되는데…확보 가격 오르고 수급 비상

한국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희귀 자원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급에 비상등이 켜졌다. 희귀 자원은 니켈(N), 코발트(C), 망간(M), 리튬(Li) 등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이들 원재료는 태양광·

www.newstomato.com


기사 내용 + 내 생각을 정리하자면

공급 측면에서 가격 상승 요인은 기존의 "인플레이션 압력 + 코로나로 인한 생산 차질"에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고조"라는 신규 Factor가 추가되어 모멘텀 추가 확보

*) 러시아는 니켈, 알루미늄, 팔라듐, 구리 주요 생산국임
전쟁까지 가지 않더라도 러시아 무역 제재 시 공급 타격 가능

*) 구리 가격은 백워데이션 지속 (선물가격<현물가격)

*) 아연 재고는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제한 -> 유럽 제련소 전력난 -> 제련 차질" 떄문에 감소 중

그 외로 금속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자주 언급되는 것은 "중국의 경기"임.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 성장 중인 시장이기 때문에, 중국 내 경기가 살아나 투자가 증가하면 원자재 소비량 급증하기 때문.



그 영향으로, 국내 배터리/전기차 업체 타격 가능
[배터리 주요 재료인 니켈, 리튬 가격 상승. 전기차 가격이 내연차와 경쟁력 가지는 시점 늦춰질 거라는 우려 증가 중 (이건 전기 가격 상승 등과도 맞물린 얘기임.)]

*) 배터리 양극재: 전구체 1톤 + 리튬 0.5톤
여기서 전구체 = 니켈+코발트+망간 으로 만들어지며, 전구체가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함. 

*) 희소광물의 경우 수급안정화지수 지속 발표되는데, 리튬은 "공급위기" 단계. "공급불안" 단계인 니켈, 코발트보다도 심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