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글이 마음에 든다면, 네이버 블로그 '이웃관리' - 'RSS추가' 를 통해 네이버에서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요즘 뜨거운 감자 "반지하"

1HO 2022. 8. 18. 08:58

지난 주 엄청난 폭우로 인해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이와 관련해 주거공간 지원, 반지하 없애기 등 정치권에서 언급이 많아 요즘 뜨거운 감자가 된 반지하집에 관한 내용임.

 

(220817) "반지하는 싸다 누가그래!"…전용 60㎡ 이하 전셋집도 11천만원"반지하는 싸다 누가그래!"…전용 60㎡ 이하 전셋집도 11천만원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2/08/726216/

 

"반지하는 싸다 누가그래!"…전용 60㎡ 이하 전셋집도 1억1천만원

전국 반지하 33만가구 중 20만 가구 서울에<BR> 지하 주거 임차 가구 월평균 소득 20% 주거지로 지출

www.mk.co.kr

올 해 서울 소형 반지하 주택의 평균 전세금 11천만원 이상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등록된 것 기준, 서울 소형(60(=18.15) 이하) 반지하 주택의 평균 전세금은 11497만원으로, 평당 전셋값 903만원 수준

 

과거의 가격을 살펴보면

- 21년 하반기 평균 전세금 1655만원

- 11년 평균 평당 전세금 451만원

 

지역별로는 ' 서초구 > 강동구 > 중구 > 동작구 > 강남구 > 용산구 > 종로구 > 마포구 > 송파구 ' 순으로 비쌌음

 

전세금 뿐 아니라 월세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음 [22년 상반기 반지하 월세 평균 38.7만원. 21년 하반기의 34.8만원 대비 11.2% 상승]

 

반지하 가구의 대부분이 서울에 위치해 있음 (33만가구 중 20만 가구로 60.6% 가 서울에 집중)

전세 가격이 오르면서 월세도 덩달아 올라 살만한 곳 하나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임

 

단순히

- 반지하를 없앤다 같은 돈으로 서울에 살 수 없거나 거주공간이 작아져 삶의 질 하락

- 반지하에 사는 사람 이주 지원 집 크기를 줄여서 지상층에 살고 있는 사람, 불편함을 감수하고 경기권에서 통근을 하는 사람 등 불합리함을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음

 

단기적으로는 침수 피해 방지 및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

장기적으로는 반지하를 거주지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반지하 공간을 가게로 주로 사용하는데 우리는 그렇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반응형